걸그룹 셀럽파이브의 신곡 ‘안 본 눈 삽니다’를 보며 다섯 여자의 태연자약한 표정에 웃음이 터졌다. 며칠 뒤 SNS에서 어떤 글이 눈에 띄었다. ‘안 본 눈 삽니다’라는 말을 시각장애인들은 어떻게 받아들일까라는 질문이었다. 반응이 다양했다. 공감하는 의견도 있었고 지나치게 예민하다는 비판도 있었다. 나도 잠시 핸드폰에서 손가락을 떼고 생각에 빠졌다.

SNS 상의 작은 소동을 지켜보며 〈선량한 차별주의자〉 저자 김지혜 강릉원주대 교수가 겪었다는 일화가 생각났다. 이쪽은 훨씬 선명하다. 한 토론회에서 ‘결정장애’라는 말을 썼고 누군가 왜 그 단어를 썼냐고 물었다. 바로 사과했지만 제대로 이해되기까지 시간이 걸렸다고 했다. 저자도 그쪽 분야의 전문가이기 때문이다.

김원영 변호사는 장애인 당사자로 꽤 오래전부터 차별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써왔다. 지난봄부터 여름까지는 〈시사IN〉에 김초엽 작가와 함께 과학기술과 장애에 관한 글(‘김초엽·김원영의 사이보그가 되다’)을 연재했다. 지체장애인이자 남성 법학자, 청각장애인이자 여성 SF 작가의 시선에서 같은 듯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두 사람의 글 덕분에 정상성과 비정상성, 기술과 진보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시사IN 신선영

연재를 마무리하며 대담을 나눌 때 특히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장애인이 기술을 통해 기능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지만 위계나 차별을 없앨 순 없다는 김 변호사의 말이었다. 그는 분명히 새로운 위계가 발생할 거라고 단언했다. 의족을 다리와 똑같이 만든다고 해도 의족을 벗어야 하는 순간은 온다. 장애를 ‘극복’하지 않아도 잘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다. 그런 면에서 차별이나 위계를 감지하는 감수성은 앞으로의 사회에서 더 절실하게 요구되는 자질일 것이다.

웃자고 한 말에 죽자고 덤벼야 하는 순간은 당사자나 상대 모두에게 유쾌한 경험이 아니다. 하지만 뭔가를 감지한 이상 그 이전으로 돌아가긴 어렵다. 최근 차별과 몸의 위계에 대해 사유해보며 내가 얻은 소득은 SNS에서 발견한 한 문장 때문에 핸드폰에서 손을 떼고 잠시 생각에 빠지는, 그 감각을 지니게 되었다는 데 있다. 물론 그건 누군가를 비난하기 위한 게 아니라 스스로 차별하지 않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다.

기자명 임지영 기자 다른기사 보기 toto@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