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에 가장 성공한 작가 중 한 사람이라면 아마도 김동식이겠다. ‘복날은 간다’라는 필명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 단편소설을 연재하던 그는 어느 기획자의 눈에 띄어 〈회색인간〉을 비롯한 소설집 세 권을 출간했다. 무언가 파격적이라고 해도 좋을 만한 작법과 함께 중학교를 중퇴한 공장 노동자 출신 작가라는 그의 신데렐라 스토리가 주목되었다.

그의 글을 세상에 소개한 기획자는 김민섭이다. 그러니까,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사람이다. 자신이 쓴 책이든 기획한 책이든 이처럼 지면에 소개하기란 몹시 민망한 일이다. 그러나 그것을 감수하고 쓰고 싶을 만큼 나는 김동식이라는 작가를 2018년의 출판계를 돌아볼 당신에게 전하고 싶다. 단순히 그의 성공 스토리를 다시 한번 재생산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런 무의미한 일에 지면을 낭비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김동식이라는 작가가, 왜 2018년에 이르러 탄생하고 선택받을 수밖에 없었는가를 짚어두려고 한다.

김동식 작가는 평생 글쓰기를 배워본 일이 없다. 공장에서 일하는 동안 계속 이야기를 상상했지만 그것을 글로 옮기는 법을 알지 못했다. 그래서 온라인 포털에서 ‘글 잘 쓰는 법’을 검색해보았다고 한다. 그것을 기억하며 자신의 방식으로 글을 써나갔으니까, 기존 제도권의 글쓰기 이론에는 빚진 것이 하나도 없는 셈이다. 그에 더해 그는 독자들에게 글을 배웠다고 거리낌 없이 밝힌다. 그의 초기 글을 검색하면 “작가님 글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역활이 아니라 역할입니다, 맞춤법이 틀렸어요” 하는 댓글이 많이 보인다. 그런데 김동식 작가는 언제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잘 몰라서 틀렸어요. 다음부터는 틀리지 않겠습니다” 하고 정중하게 답했다. 여기에 감응한 독자들은 “이 부분은 개연성이 부족해요”라거나 “어헝헝이 아니라 ‘그녀는 흐느꼈다’라고 표현해보세요” 하는 조언을 하기에 이르렀다. 거기에 “개연성이 뭔가요?” 하고 반응하는 작가는, 아무래도 모두에게 참 낯선 존재였다. 그러면 모두가 자신이 아는 개연성의 개념을 작가에게 설명했고, 김동식 작가는 그것을 스펀지처럼 빨아들이면서 자신의 작법을 완성해나갔다. 김동식이라는 낯선 작가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탄생했다.

〈성공한 인생〉
김동식 지음
요다 펴냄


그가 2018년 가을에 출간한 〈성공한 인생〉은 그의 ‘성공한 인생’을 그대로 드러내는 듯하다. 그를 작가로서 끌어올린 것은 교수나 평론가 같은 소수의 심사위원이 아니라, 우리 주변의 무수하고 평범한 개인들이었다. 김동식의 탄생은 그래서 우리가 목도한 새로운 개인의 탄생인 동시에 우리가 수집한 희망의 증거이기도 하다. 그의 성공한 인생이 2019년에도 계속되기를, 그의 독자들 역시 그러하기를 바란다. 

기자명 김민섭 (〈훈의 시대〉 저자)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