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 와 있다. 석양 무렵 월령리 해안길을 따라 걷다가, 한 무리의 선인장을 발견했다. ‘백년초’라고도 불리는 제주의 토착 식물이다. 가시라고 하기엔 턱없이 귀여운 돌기가 달린, 손바닥만 한 줄기 서너 개 위에 자줏빛 열매를 이었다. 열매는 위통과 변비에 약으로 쓰이고, 요새는 음료나 잼의 형태로도 소비되는 모양이다. 여행객이 해안가 바위에 붙어 있는 선인장을 잡아 뜯거나 열매를 채취하는 행위는 불법이다. 군락지 전체가 천연기념물 제429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다지 볼품도 없는 한 떼의 선인장 따위가 무슨 천연기념물이냐고 할 사람도 있겠지만, 그것은 이들이 얼마나 귀한 손님인지 모르고 하는 소리다.

지도를 보면, 한반도가 태평양에 바로 면해 있다고 생각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바다를 태평양이니, 대서양이니, 인도양이니, 남극해니 나누는 것 자체가 어찌 보면 난센스다. 각각의 대양은 칸막이로 나뉜 아쿠아리움의 수조들이 아니다. 바닷물은 남반구에서 북반구, 적도와 극지를 넘나들며 뒤섞이고, 흘러가며, 돌아온다.

ⓒ연합뉴스제주에서 자라는 선인장인 ‘백년초’.

월령리 해안가의 선인장들은 이를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증거다. 원래 모든 선인장의 고향은 중남미 지역이다. 건조한 사막기후에 대응하기 위해 이들은 특수한 형태의 광합성 방법을 발전시켰다. 일반적인 식물들은 밤낮으로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여 빛과 물을 더해 에너지원인 포도당을 만든다. 하지만 사막에서 낮에 숨구멍을 열었다간, 그 틈으로 몸 안의 수분이 금세 증발해버린다. 그래서 선인장들은 밤에만 숨구멍을 연다. 밤사이 빨아들인 이산화탄소를 몸 안에 저장해놓았다가, 낮이 되면 광합성 작용을 일으켜 포도당으로 바꾸는 것이다. 선인장의 생육이 느린 이유다. 다른 식물이 공장과 창고를 동시에 가동한다면, 선인장은 창고 작업을 마친 후에야 공장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남미의 자연에 특화되어 진화한 선인장이건만 발견되는 곳은 아프리카 남부,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제주도에 걸쳐 있다. 이들이 씨앗 형태로 해류를 타고 흘러왔기 때문이다. 가장 가혹한 환경을 견딜 수 있도록 진화한 식물인 만큼, 동아시아의 추위와 열대우림의 습기를 견디는 능력 또한 금세 습득했다.

차선이 그어지지 않은 개발도상국의 도로 위에서도, 자동차의 흐름은 이내 몇 가닥으로 정리된다. 대양도 마찬가지다. 어떤 이정표도, 유도선도 그어져 있지 않지만 바닷물에는 정연한 흐름이 있다. 지구의 자전과 대기 움직임에 따라 작동하는 이 컨베이어벨트의 이름은 ‘해류’다.
이 흐름이 멎는 날, 지구상의 모든 생명도 자취를 감출 것이다.

그 선인장 씨앗이 바다 건너 ‘백년초’ 되었네

그 흐름들 가운데서도 특급열차에 해당되는 것이 몇 있다. 남극에서 남미 대륙 서해안으로 북상하는 페루 해류, 적도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도는 적도 해류, 적도에서 아시아로 북상해 미국 서해안에 이르는 구로시오 해류다. 선인장 씨앗이 그런 것들을 알았을 리 만무하지만, 그들은 바다를 건너왔다. 여기엔 기막힌 몇 번의 우연이 겹쳤을 터다.

어느 날 페루의 해안사막을 떠난 선인장의 씨앗 몇 톨은,
운 좋게 바다의 특급열차에 올라탔을 것이다. 더 운이 좋게도
몇 번의 환승역을 놓치지 않고 열차를 갈아타는 데 성공했을 것이다. 그리하여 제주라는 낯선 역에 내려선 이들은, 먼저 도착한 세대의 실패를 딛고 차츰 이 강산에 어울리는 몸으로 변모해갔을 것이다. 언제 고향을 떠나왔는지도 가물가물해진 어느 날부터인가, 그들은 더 이상 ‘오푼티아 피쿠스 인디카’가 아닌 ‘백년초’라는 이름으로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기 시작했을 것이다.

기자명 탁재형 (팟캐스트 〈탁PD의 여행수다〉 진행자)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