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26일 프랑스 파리 트로카데로 광장에 올림픽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AP Photo
1월26일 프랑스 파리 트로카데로 광장에 올림픽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AP Photo

2024 파리 올림픽 개최를 5개월여 앞둔 프랑스가 난맥을 드러내고 있다. 개최지인 프랑스 파리의 각종 도시문제부터, 주최 측의 행정적 혼선까지 이어진다. 당장 수도 파리의 인프라 문제가 도드라진다. 특히 대회 기간 중 대중교통 운영 문제는 오래전부터 난항이 예상되어온 문제다.

지난해 11월28일 발레리 페크레스 일드프랑스 도지사는 올림픽 기간인 7월20일부터 9월8일까지 지하철 운임을 두 배가량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파크레스 도지사는 “(올림픽 기간) 방문객들에게 적절한 가격”이라며 월 정기권을 이용하는 파리 시민들을 제외한 단기 이용객의 요금을 대폭 올렸다. 1회권은 2.1~4유로(약 3000~5700원)로, 10회 묶음 티켓은 16.9~32유로(약 2만4000~4만6000원)로, 1일 무제한 이용권은 8.45~16유로(약 1만2000~2만3000원)로 인상했다. 대중교통 이용량 증가에 대비하겠다는 명분이다.

프랑스의 이러한 정책은 2017년 올림픽 유치 당시의 공약과 상반된다. 당시 프랑스는 2012 런던 올림픽처럼 경기장 티켓을 가지고 있는 관객에게 대중교통을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공약했다. 토니 에스탕게 올림픽 조직위원장은 2019년 11월11일 일간 〈르파리지앵〉과의 인터뷰에서 “경기장 입장권이 있는 관객은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하게 하겠다. 예산이 들겠지만 그게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교통 인프라 개선 없이 요금만 인상했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지하철 운임료 인상 방침이 발표된 다음 날 라디오 프랑스앵포에 출연한 브뤼노 가조 ‘교통권사용자 국가연합’ 대표는 “프랑스의 대중교통 투자가 다른 유럽 국가들의 절반도 안 된다”라며 이번 정책을 비판했다. 지난해 12월5일 파리 교통국 ‘일드프랑스 모빌리테(IDFM)’는 지하철 5개 노선의 출퇴근 시간 정시성이 85%에 불과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지난해 11월23일에는 안 이달고 파리시장이 프랑스 국회에서 “파리 올림픽까지 (필요한) 대중교통이 준비되어 있지 않을 것”이라며 프랑스 중앙정부와 클레망 본 교통장관에게 책임을 묻기도 했다.

그러나 프랑스 정부 측은 올림픽 기간 대중교통 이용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낙관하는 분위기다. 지난해 12월7일 라디오 프랑스앵포에 출연한 클레망 본  교통 장관은 “모든 관객이 대중교통을 통해 올림픽 경기를 보러 갈 수 있을 것이다. 2023년 럭비 월드컵 당시에도 개최 전날까지 (대다수 관람객의 대중교통 이용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지만, 프랑스가 해냈다”라고 답했다. 한편 장피에르 파랑두 프랑스철도공사(SNCF) 대표는 지난해 12월12일 언론 인터뷰에서 “여름휴가 시즌과 맞물리는 올림픽 기간 철도공사 직원들이 휴가를 덜 가고 일하도록 보너스 지급을 고려하겠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올해 2월5일 파리교통공사(RATP) 노조는 올림픽 기간에 보너스와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9월9일까지 8개월간의 파업을 예고하기도 했다.

올림픽이 열리는 동안 치안 문제도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흉기 피습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12월 파리 에펠탑 인근에서 한 독일 관광객이 흉기 피습으로 숨졌고, 2월3일에는 파리 리옹역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일어났다. 지난해 11월28일 일간지 〈르파리지앵〉과 인터뷰한 로랑 뉘녜즈 파리 경찰청장은 강화된 통행 제한이 담긴 올림픽 보안 조치를 설명했다. 올림픽 기간에 파리 각 지역은 ‘주최구역·보호구역·적색경계구역·청색경계구역’으로 나뉜다. 각각 대회 관계자만 입장할 수 있는 구역, 수색을 마친 뒤에만 들어갈 수 있는 구역, 자동차나 이륜차만 검문을 받는 구역, 거주민이나 직장인, 상점 및 식당 이용객만 들어갈 수 있는 구역을 의미한다. 일부 구역은 신원 확인 후 접근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색경계구역으로 설정된 상권을 방문하기 위해선 미리 발급받은 QR코드를 제시해야 한다.

“보안 계획 우려된다”는 경찰 노조

수많은 경기장에서 쏟아져 나올 인파를 대비하려면 사설 보안업체의 도움도 필수적이다. 지난 1월10일 라디오 프랑스앵테르에 출연한 토니 에스탕게 올림픽 조직위원장은 “필요한 사설 보안업체 인력 1만7000~2만2000여 명 중 약 70%의 동원을 마친 상태다”라고 말했다. 다만 공권력 동원에는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1월18일 프랑스 경찰 노조는 ‘검은 목요일’로 불리는 총파업을 선언했다. 프랑스 경찰 자유노조연맹(Unsa Police) 관계자는 언론 인터뷰에서 “이번 파업은 경찰의 목소리를 듣게 하고 올림픽 보안에 대한 염려를 전하기 위한 것”이라며 그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올림픽에 경찰 4만5000명이 동원될 것인데) 어떻게 인력이 배치될지, 보안 진행은 어떻게 될지에 대한 설명이 없는 점이 안타깝다”라는 말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1월30일 제랄드 다르마냉 내무장관은 공식 서한을 통해 “경찰관들에게 올림픽 기간 외 15일의 휴가를 보장하고, 올림픽에 동원되는 경찰관들에게 최대 1900유로(약 273만원)의 보너스를 지급하겠다”라고 발표했다. 덧붙여 12세 미만 자녀를 둔 경찰에게는 한 아이당 최대 200유로에 달하는 육아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비리 의혹도 불거졌다. 프랑스 검찰은 지난해 6월, 공적자금 횡령 의혹을 받는 올림픽 조직위와 기반 시설 건설업체를 압수수색했다. 뒤이어 지난해 10월에는 개막식 담당 이벤트 대행사와의 계약 뒷거래 의혹으로 조직위는 또 한 번 압수수색을 당했다. 올해 2월6일에는 토니 에스탕게 조직위원장도 금융검찰청(PNF)의 수사선상에 올랐다. 지난해 10월 탐사보도 매체 주간지 〈르 카나르 앙셰네(Le Canard Enchaîné)〉는 에스탕게가 자신이 설립한 컨설팅 회사를 통해 조직위원회에 매달 ‘비상업적 급여’ 명목으로 꼼수 급여를 받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1901년 단체법으로 규정되는 비영리단체장의 보수 상한선을 피하려 했다는 것이다. 비영리 협회장의 연봉은 최대 상한이 13만9000유로(약 1억8000만원)로 제한된다. 파리 올림픽 조직위가 2018년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20년까지 에스탕게 위원장의 연봉은 27만 유로(약 3억8000만원)로 급여 상한액보다 많았다.

수사가 착수된 2월6일, 에스탕게는 언론 인터뷰에서 “내가 (조직위원장의) 급여를 결정한 것도, 직무를 결정한 것도 아니다. 당시 내가 조직위에 직접 (계약서를 통해) 고용될 수 없어서 따로 위원회에 급여를 청구할 조직이 필요했다”라고 말했다. 파리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일간지 〈르몽드〉에 “세무적으로 보면 조직위는 재원의 96%를 상업적 수입으로 조달하기 때문에 보수 상한법이 적용되는 비영리단체라고 볼 수 없다”라고 항변했다. 법적으로 조직위가 입장권, 중계권, 스폰서 등 각종 상업적 수입과 직결되는 영리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것이다. 2월6일 경제 일간지 〈레제코〉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불거진 조직위원회 비리 세 건에 대한 검찰 조사는 아직 이어지고 있으며, 이번 조직위원장 수사에 대해 검찰은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다만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내에서 현 조직위와 조직위원장에 대한 신뢰는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론조사기관 프랑스여론연구소(Ifop)가 2월13~14일 프랑스 국민 10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5%가 ‘프랑스가 2024년 파리 올림픽을 잘 진행하리라 믿는다’고 답했다. 또한 올림픽 조직 담당자 중 누구를 가장 신뢰하느냐는 질문에도 응답자의 53%가 현 조직위원장인 토니 에스탕게를 지목했다.

기자명 파리·이유경 통신원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