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일의 〈A new material has come into the world〉.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이택우 촬영·이승일 제공

가는 못 두 개 위에 놓여 있는 손바닥만 한 사진을 들여다본다. 검은 바탕에 그릇이 포개어져 놓여 있다. 특이한 점은 사진 아래 튀어나와 있는 저장장치 같은 노란 칩이다. 이것은 무엇일까? 이 이미지는 어떤 의미일까? 전시장 안을 리듬감 있게 채우는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아주 작은 크기라서 스쳐 지나갈 법한 작품이기도 하다. 노란 칩은 무엇일까 정보를 찾아보니 전자잉크 패널에 달린 장치다. 이 작품의 제목은 〈A new material has come into the world〉이다.

이 작품을 〈산책자와 협잡꾼〉 전시에서 보았다. 이 전시는 17~18세기 유럽에서 성행했던 그랜드 투어를 참조한다. 그랜드 투어는 유럽 상류층 귀족 자제들을 중심으로 이탈리아나 프랑스 문화를 둘러보며 문물을 익히던 여행을 뜻한다. 그랜드 투어는 특히 영국에서 성행했기 때문에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 종종 등장한다. 전시는 유구한 시간층을 새롭게 흡수하려는 산책자와 이 낯선 이들을 현혹하기 위해 작당 모의하는 협잡꾼에 빗대어보기의 관례를 점검케 만든다.

다시 한 점의 이미지로 돌아가면, 이 작품은 사진처럼 보이지만 전자잉크 패널이다. 컵과 접시는 이 패널 위에 마이크로캡슐에 가해지는 전하를 따라 드러난다. 이 컵과 접시의 특이점은 자기(瓷器)처럼 보이지만 밀크 글라스 식기를 3D 스캐닝 방식으로 촬영한 것이다. 밀크 글라스 식기는 자기의 비싼 값을 대신하기 위해 유리로 자기 느낌을 내던 시대를 거쳐 19세기 후반 성행하였고, 20세기 초 금광 시대 미국 문화의 호황기에 미국적인 것으로 자리 잡았다. 사진처럼 그리고 자기처럼 둔갑술을 부린 물질이 여기 놓여 있다.

다른 시각, 다른 감각을 환기할 때

그러나 이 작품이 사진처럼 보인다고 해서 사진을 동경한다고 여겨지지는 않는다. 또한 밀크 글라스가 자기를 닮았다고 해서 자기로 유형화되지 않는다. 작품의 제목이 시사하듯 새로운 물질이 세상에 나왔다. 새로운 물질은 사물의 용도를 정해주는 질서를 다시 의심하게 만든다. 사물의 재현은 기술적으로 정점을 찍은 지 오래다. 더 이상 사물과의 닮음은 가치를 측정하는 척도가 되지 못한다. 재현의 기준에 종속되지 않고 새로운 감각을 요청하는 물질이 우리 앞에 속속 도달하고 있다.

이때 새로움은 도대체 무엇일까. 본 적 없는 낯섦에 대한 기대는 사그라들었다. 믿던 가치 평가와 어긋나는 감각을 깨우고 다른 감각과 인식도 의미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던지는 새로움. 새로움은 질서를 의심하는 과정에서 터득될 수 있다. 학습은 정보를 읽고 미술의 역사를 배워야만 한 걸음 다가설 수 있다는 믿음으로 구성된다. 학습과 달리 배움은 무능력에서 이행해가지 않는다. 권위에 매이지 않는다. 다른 시각, 다른 감각을 환기할 때 그 이미지가 우리 눈에 밟히고 그 이미지가 세상을 새롭게 증명한다.

기자명 김현주 (독립 큐레이터)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