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30일 의학 저널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에 논문 한 편이 올라왔다. 제목은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저소득 가정 아동 먹이기(Feeding Low-Income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논문은 “기존 저소득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영양 지원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지금 같은 전례 없는 상황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유연하고 맞춤형이며 신중한 저소득 아동 영양 프로그램을 새로 마련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한국은 어떨까? 기본적으로 결식아동 지원 사업(아동급식지원사업)은 지방자치단체(지자체)와 시도 교육청이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 취학아동의 경우 아침·저녁 식사는 연중 지자체가 맡는다. 문제는 점심식사다. 학기 중에는 학교에서 무상급식이 제공되지만 방학 중에는 지자체가 예산을 부담한다. 코로나19로 개학이 연기되면서 지자체의 결식아동 중식 지원도 계속 연장돼왔다. 그렇다면 4월9일부터 순차적으로 이뤄지는 ‘온라인 개학’ 이후는 어떻게 될까?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과에 전화해 물어보니 “방학 중 지원 방식에 준해서 지원하되, 예산에 관해선 교육청과 지자체가 서로 협의해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연합뉴스

교육청과 지자체가 아이들의 식사를 가지고 서로 예산 부담을 미루리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다만 걱정되는 건 ‘격차’다. 현재 지자체별 결식아동 급식 단가는 최저 4000원부터 형편 좋은 지자체의 최고 7000원까지 천차만별이다. 적어도 학기중 점심 한 끼만은 벗어날 수 있었던 그 격차가, 코로나19 탓에 매 끼니 가난한 집 아이들의 밥에 적용되게 생겼다. 가뜩이나 코로나19 피해에 따른 재정지출이 많을 각 지자체들이 혹여 신규 결식아동 발굴과 적극적인 지원에 선뜻 나서지 않을까 우려되기도 한다.

아이들이 먹는 밥의 내용도 함께 들여다봤으면 좋겠다. 학교 급식이 일상 속 가장 훌륭한 식사였던 아이들이 많다.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이 늘어나는 만큼 누적되는 저소득 아동들의 편의점 식사, PC방 식사를 어쩔 수 없는 코로나19의 새 풍경으로만 봐야 할까. 아무도 원하지 않았지만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배고픈 아이들을 지원하는 방식도 옛 방식에 머물러선 안 될 것이다. 결식아동 지원의 새롭고 유연하며 혁신적인 방식을 모색할 때다.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니까. 그 아이들에게 밥은 사랑이니까.

기자명 변진경 기자 다른기사 보기 alm242@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