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N 이명익

“출구가 혼잡합니다. 강남역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10월5일 오후 5시30분 서울 교대역. 2호선 열차가 도착했지만 플랫폼은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역 관계자들은 차라리 지하철 2호선을 타고 강남역으로 이동해 지상으로 빠져나가길 권했다. 9월28일에 이어 10월5일에도 검찰개혁을 요구하는 촛불집회가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 앞에서 열렸다(10·5 서초동 집회). 좀 더 많은 인파가, 더 밀도 높게 대검찰청을 에워싸고 개혁을 요구했다.

〈시사IN〉은 9·28 서초동 집회에 이어 10·5 서초동 집회에 참석한 이들의 성별·연령별·지역별 분포를 분석해보았다. 일주일 사이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서였다. 보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 분석 범주와 시점, 방법론을 통일시켰다. 서초역 사거리를 중심으로 총 10개 집계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인파가 가장 많이 몰린 오후 7시를 중심으로 추계했다. 비교분석을 위한 ‘평시’ 데이터는 2018년 9월 전체 토요일(총 5일) 데이터의 산술평균을 구해 활용했다.

이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일부 집회 참석자가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9월28일과 달리 10월5일 집회에서는 교대역이 있는 법원검찰청 교차로부터 강남역 방면 서초1교까지도 다수 인파가 모여 도로가 통제되었다. 이번 분석 범주에서 제외된 지역이다. 무리하게 분석 범위를 넓히기보다 동일한 분석 범위 내에서 집회 참가자들의 ‘밀도’와 ‘구성’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게 중요했기 때문이다.

오른쪽 〈그림 1〉부터 〈그림 4〉까지가 그 결과다. 우선 집회에 가장 많은 인파가 몰린 오후 7시를 기준으로 O-D 분석(시점-기점 분석)을 실시했다. 10·5 서초동 집회도 9월28일과 마찬가지로 서울 강남구(약 5060명), 서울 관악구(약 4897명), 서울 송파구(약 4862명)에서 온 사람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집회 참가자의 구성을 좀 더 폭넓게 살펴보기 위해 이번에는 권역별 분석을 추가했다. 오후 7시 기준 권역별로 집회 당일 생활인구에서 평시 생활인구를 뺀 ‘격차’를 합산했다. 서울과 경기를 각각 다섯 권역으로 나누었고(서울시청과 경기도청의 분류법을 따름), 나머지 지역은 광역자치단체 기준으로 추려냈다.

ⓒ시사IN 이명익10월5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열린 검찰개혁 촛불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10월5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열린 검찰개혁 촛불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일부 지역은 분석에서 제외

당장 눈에 띄는 지역은 약 1만6573명이 모인 경기 경부권(수원·성남·용인·과천·안양·군포·안성)과 약 1만4369명이 모인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이다. 서울에서 권역이 가장 큰 서울 서남권(강서·양천·영등포·구로·관악·금천·동작)에서도 약 1만3683명이 모인 것으로 추계된다. 집회의 동력을 이끈 이들은 강남 지역과 강남 통근 인구가 많은 경기 남부 수도권 인구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지난 9월28일 분석과 유사한 결과다.

성별·연령별 추계(〈그림 3〉)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여전히 서초동 집회를 이끄는 세대는 4050 세대다. 이날 오후 7시 기준, 집회 지역 생활인구를 분석한 결과 40대 남성은 약 2만28명, 40대 여성은 약 2만1174명에 달했다. 50대 역시 남성 1만9712명, 여성 1만6793명이었다.

성별 분포도 40대까지는 여성이, 50대부터는 남성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다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5~29세 여성의 증가가 눈에 띈다. 9월28일 약 2764명 수준이었던 25~29세 여성 생활인구(평시 약 1051명)는 10월5일 약 4184명으로 늘어났다. 평시 생활인구의 4배 수준이다.

집회의 밀도도 높아졌다. 9월28일 집회 당시 이 지역 오후 6시 생활인구는 약 12만2733만명이었지만, 10월5일에는 동시간대 생활인구가 약 14만2726명으로 약 1만9993명 증가했다. 오후 7시 역시 약 12만3134명(9월28일)에서 약 14만2608명으로 약 1만9474명이 늘었다. 서초역 사거리를 중심으로 더 많은 인파가 촘촘하게 모여 목소리를 모았다는 의미다. 갈수록 더 많은 인파가 더 큰 목소리로 검찰을 향해 ‘개혁’을 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자명 김동인 기자 다른기사 보기 astoria@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